티스토리 뷰
목차
자동차를 타다 보면 시동이 잘 걸리지 않거나 배터리가 쉽게 방전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오래된 자동차일수록 이런 현상이 심한데, 자동차 배터리의 교체 주기를 알아보고 손쉽게 셀프로 배터리를 교체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자동차 배터리 교체 주기
2. 자동차 배터리 셀프 교체 방법
1) 교체할 배터리 주문
2) 기존 배터리 제거
3) 새 배터리 장착
4) 시동 테스트
5) 폐 배터리 반품
6) 자동차 배터리 셀프 교체 마지막 정리 및 주의사항
1. 자동차 배터리 교체주기
자동차 배터리 교체 주기는 정해져 있지 않고 자동차의 종류 및 자동차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자동차마다 배터리의 용량이 다르고, 블랙박스 유무, 히터나 열선 등 전기장치의 사용 빈도, 겨울철 주차환경 등에 따라서 배터리 성능이 많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보면 3년 정도, 전기장치를 많이 사용한다면 2년 반 정도에 한 번씩 배터리를 교체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더욱 정확한 방법은 배터리 용량을 확인해보고 교체하는 것입니다.
배터리 용량 확인은 엔진오일 교환등을 위해 정비소 방문 시에 정비사에게 요청하시면 간단하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요즘 생산된 배터리에는 외부에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를 확인할 수 있는 동그란 모양의 창이 있습니다.
이 색깔이 초록색이라면 정상, 검은색이라면 방전상태, 흰색이라면 점검이 필요하다는 뜻이므로 상황에 맞게 대처하시면 됩니다.
2. 자동차 배터리 셀프 교체
자동차 배터리 교체 비용은 배터리나 차종에 따라 다르지만, 정비소 기준으로 대략 13 ~30만 원 정도입니다. 이 가격은 정비소 별로 천차만별이기에 발품을 잘 팔아서 배터리 가격에 마진, 정비사의 공임까지 들어간 가격이 13만 원 정도라면 괜찮은 가격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터넷 등으로 배터리를 구매 후 셀프로 교체하게 되면 배터리 가격만으로 교체할 수 있어 비용이 절반 정도로 줄어들게 됩니다. 배터리 셀프 교체도 매우 쉬우므로 아래 방법대로 따라 하기만 하면 됩니다.
1) 교체할 배터리 주문
먼저 자신의 자동차에 맞는 배터리를 확인해야 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은 보닛을 열어 배터리에 적힌 모델넘버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배터리 모델을 알았다면 인터넷으로 자신의 차종에 맞는 배터리를 검색 후 구매 하면 됩니다.
차종에 따라 가격이 다른데, 대략 6~7만 원대에 구매가능 합니다. 배터리를 주문하게 되면 셀프 교체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공구(스패너, T복스 등)와 함께 작업 시 사용할 장갑까지 같이 배송 오기도 합니다.
반드시 배터리를 주문할 때 차종, 연식, 연료등 부가 정보를 입력해서 차종에 맞는 공구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공구가 맞지 않으면 배터리 셀프 교체를 위해 공구를 또 사야 하는 불상사가 생기게 됩니다.
주문한 배터리가 도착하면 배송 중 깨진 곳은 없는지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혹시 문제가 있는 배터리를 잘못 장착하게 되면 자동차의 전자계통에 고장이 생길 수 있습니다.
2) 기존 배터리 제거
기존 배터리 제거 시 반드시 아래의 순서에 맞게 작업해야 합니다.
① 마이너스(-) 단자 제거
먼저 동봉된 장비로 마이너스 단자를 풀어서 빼냅니다. 나사를 다 풀 필요 없이 적당히 느슨하게 풀어 준 후 조금만 흔들어준 다음 들어 올리면 쉽게 빠집니다.
② 플러스(+) 단자 제거
스파크가 나는 걸 방지하기 위해 플러스 단자에는 보통 캡이 씌워져 있습니다. 캡을 벗긴 다음에 동봉된 장비로 마이너스 단자와 같은 방법으로 나사를 풀어 느슨하게 한 다음 들어 올려서 빼면 됩니다.
③ 고정쇠 제거
배터리 앞쪽에 보면 바닥에 배터리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해 주는 고정쇠가 있는데, 동봉된 T복스(기다란 장비)로 나사를 풀어서 고정쇠를 제거합니다.
고정쇠까지 제거하고 나면 이제 배터리를 들어낼 수 있습니다. 무게가 제법 나가므로 다치지 않게 조심해서 배터리를 들어냅니다. 배터리 교체 후 폐 배터리는 반납해야 하므로 잘 챙겨 놓습니다.
3) 새 배터리 장착
새 배터리 장착 시에는 아래 순서대로 진행하는데, 기존 배터리 제거 때와는 반대로 플러스(+) 단자를 먼저 조립한 후 마이너스(-) 단자를 조립해야 합니다.
순서가 바뀌게 되면 때로 괜찮을 수도 있지만, 혹시 문제가 생기게 되면 자동차의 중요 전자 장치인 ECU가 망가질 수 있습니다. ECU가 망가지면 배터리 셀프 교체로 아낀 돈보다 더 큰 지출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주의해서 작업해야 합니다.
① 배터리 누액방지 테이프 제거
배송 시 배터리 액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에 누액방지 테이프가 붙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반드시 먼저 제거하고 작업을 해야 합니다. 이 테이프를 그대로 두고 자동차를 운행을 하게 되면 배터리가 부풀어 올라 터질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사후 A/S도 되지 않기에 테이프 제거를 잊지 말아야 합니다. 떼어낸 누액방지 테이프는 버리지 말고 폐 배터리에 똑같이 붙여서 반납하면 됩니다.
② 플러스(+) 단자 조립
조립은 제거의 역순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플러스 단자를 먼저 조립해야 하는데, 반드시 순서를 지켜서 해야 합니다. 아까 제거했던 플러스 단자를 연결하고 동봉된 장비로 최대한 단단하게 조인 후 캡을 덮으면 됩니다.
③ 마이너스(-) 단자 조립
마이너스 단자도 마찬가지로 최대한 단단하게 조여줍니다. 마이너스 단자를 조립할 때는 단자가 뜨겁거나 스파크가 살짝 날 수도 있기 때문에 반드시 장갑을 끼고 작업을 해야 합니다.
④고정쇠 조립
마지막으로 고정쇠를 다시 조립해서 배터리가 움직이지 않도록 잘 고정시킵니다. 배터리의 위치가 딱 정해져 있지 않고 약간 유동적인데, 고정쇠를 잘 조립해서 배터리 위치를 잘 잡아줘야 합니다.
4) 시동 테스트
자동차 배터리 셀프교체가 끝나면 반드시 시동을 걸어서 제대로 교체가 되었는지 확인을 해 봐야 합니다. 위 순서대로만 잘 따라왔다면 아무 문제 없이 시동이 잘 걸릴 것입니다.
5) 폐 배터리 반품
교체해서 꺼낸 폐 배터리는 버리지 말고(사실 버릴 곳도 만만치 않습니다.) 반드시 배송처로 돌려보내야 합니다. 이때 같이 배송 온 공구 모두 배송상자에 잘 포장해서 보내면 됩니다.
6) 자동차 배터리 셀프 교체 마지막 정리 및 주의사항
- 자동차 배터리를 셀프 교체 시 주의해야 할 사항은
① 반드시 차종에 맞는 배터리 구매
② 작업 시에는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반드시 장갑 착용
③ 배터리 탈, 부착 시 반드시 순서에 맞게 할 것
④ 누액 방지 테이프가 있다면 반드시 제거
⑤ 새 배터리 장착 시 단자의 너트를 최대한 꽉 조일 것
- 자동차 배터리 셀프교체 간단히 보기
① 자동차 배터리 마이너스(-) 단자 제거
② 자동차 배터리 캡을 열고 플러스(+) 단자 제거
③ 자동차 배터리 고정쇠 제거
④ 새 배터리에 누액방지 테이프가 있다면 반드시 제거
⑤ 새 배터리 장착
⑥ 플러스(+) 단자 결합 및 캡 씌우기
⑦ 마이너스(-) 단자 결합
⑧ 고정쇠 결합
⑨ 시동 걸어서 확인하기
자동차 배터리 관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 ▼ ▼ ▼ ▼ ▼ ▼ ▼ ▼ ▼
겨울철 자동차 배터리 관리법 및 배터리 방전 시 시동 거는 방법(점프스타터 활용법)
추운 겨울에는 자동차 배터리 관리에 특별히 신경을 써야 하는데, 겨울철 배터리가 방전되는 이유를 알아보고 배터리 방전을 예방하는 방법 및 배터리 방전 시 점프스타터의 활용법을 알아보겠
sanator8190.com
점프스타터 사용법, 구매 가이드 및 제품 추천 (카충이5, 점프앤고, 썬더스타터3, 차도리, 카파워
오래된 자동차의 경우 혹은 추운 겨울이 되면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이 자주 일어나게 됩니다. 자동차 배터리가 방전됐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점프스타터가 무엇인지
sanator8190.com
'세상의 모든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도 바로 아는 자동차 타이어 교체 시기 한 번에 알아보기 (Feat. 공임나라 타이어 교체 비용) (0) | 2023.01.04 |
---|---|
왜 공임나라 인가? 공임나라 사용법 및 예약 (Feat. 공임나라 엔진오일 교환비용 및 방법) (0) | 2022.12.26 |
집에서 아보카도 키우기 쉽게 따라하기 (수경재배, 화분) (0) | 2022.12.23 |
점프스타터 사용법, 구매 가이드 및 제품 추천 (카충이5, 점프앤고, 썬더스타터3, 차도리, 카파워 점프스타터) (0) | 2022.12.22 |
겨울철 자동차 배터리 관리법 및 배터리 방전 시 시동 거는 방법(점프스타터 활용법) (0) | 2022.12.19 |